로그인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자유글 고학력자 한국떠나 이민간다

  • gbsl
  • 619
  • 0

첨부 1

  1. 한국경제TV.jpg (File Size: 151.7KB/Download: 0)
  2. g20131031_2.jpg (File Size: 33.1KB/Download: 0)
  3. 26915463.1.jpg (File Size: 154.4KB/Download: 0)
  4. 5.jpg (File Size: 57.3KB/Download: 0)
  5. g20131031_1.jpg (File Size: 63.5KB/Download: 0)

한국경제TV.jpg


# 고학력자들의 이민이 쉬워진다.

우리나라 전체 이민 규모(15,323명, 2012년통계청 기준)의 3분의 2정도 되는 10,843명이 미국 이민자이다. 해외로 이민간 규모가 가장 큰 국가는 단연 ‘미국’일 것이다. 오바마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이민개혁안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대부분 이민개혁안이 미국 내 불법체류자에 대한 내용으로 이해하고 있지만, 이는 잘못 알려진 것이다. 일반인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석사 이상의 고학력자들에 대한 개혁안이다.

이 개혁안은 미국의 교육기관에서 석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 분야의 전공자들에게 영주권을 부여한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특히, STEM 전공자들이 영주권을 신청 시 미국 이민국은 접수를 받은 날로부터 30일 내에 신청자들에게 접수 및 서류미미부분에 대한 통지를 보내야 하고, 60일 이내에 결과를 통보해야 한다라는 세부 규정이 포함되어 있어 빠른 이민 수속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크게 환영 받고 있다.

특히 이들에게는 NIW(National Interest Waiver, 고학력자 독립이민) 자격을 부여하여 자력으로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다. NIW는 ‘미국 국익에 도움이 된다’라는 판단에 따라 미국 고용주와 고용허가서 절차 없이 스스로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서, 간소하고 빠른 취득 절차와 자유로운 활동 반경 등의 장점이 있다.

그간 다소 범위가 좁았던 NIW의 문이 이번 개혁안을 통해 넓어진 만큼 이민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 20대 청춘, 이민계(契)를 들다

서울 소재 명문여대를 졸업한 뒤 여의도 A증권회사에 재직중인 김효원씨(26·가명)는 지난해부터 친구 4명과 함께 ‘이민계(契)’를 만들었다. 한국을 떠나 북유럽 국가인 핀란드에 정착하기 위한 목돈을 같이 모으기 위해서다. 이들은 한 달에 50만원씩 무조건 불입한다는 원칙까지 세웠다. 이렇게 모은 금액은 현재 1000만원 가량된다. 이들은 모두 S대와 Y대 등 명문대학을 졸업해 은행·증권·전자·해운사 등 남부럽지 않은 직장을 갖고 있다. 김씨는 “핀란드 소재 대학 석사과정에 입학한 뒤 현지에 정착할 것”이라며 “한국에서와는 달리 그곳에서는 퇴근 후 여유있게 자기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민 열풍’이 사회에 갓 진입한 20대 청춘들 사이에서도 불고 있다. 사회 초년생때부터 목돈을 만들기 위한 계를 조성하는가 하면, 필요할 경우 ‘이민 스터디’를 통해 언어 등 필요한 지식도 공유한다. 



해당 나라에서 원하는 자격을 갖추기 위해 새로 기술을 배우는 사람들도 있다. 

S대 인문대를 졸업해 대기업 인사팀에서 3년째 일하고 있는 이상호씨(29·가명)는 주말마다 자동차정비학원으로 출근한다. 북유럽 국가로 기술이민을 가기 위해 자동차정비 기능사·기사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것이다. 기술이민은 일반 이민에 비해 영주권을 쉽게 얻을 수 있다. 

캐나다 용접공 이민 자격증 관련 학원 관계자는 “영국의 소위 ‘옥스브리지(옥스퍼드대·캠브리지대의 합성어)’ 경제학 박사에서부터 서울대 졸업자들까지 깜짝 놀랄만한 고학력자들이 용접공 이민에 도전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이민을 꿈꾸는 사회초년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나라는 ‘복지국가’로 알려진 덴마크·스웨덴 등 북유럽 국가들이다. 외교부의 ‘재외동포현황’에 따르면 덴마크에 사는 재외동포는 2011년 293명에서 2013년 538명으로 83.6%나 증가했다. 



이들이 선진국으로 이민가려는 이유는 간단하다. 교육비 상승, 연금혜택 축소, 높은 주택 가격 등 한국에서의 삶이 갈수록 젊은 세대에게 점점 불리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잦은 야근과 불황, 심해지는 스트레스 등 경쟁 일변도의 사회풍조도 일조하고 있다. 점차 세계가 글로벌화되고 나라간 장벽이 사라지면서 언어 문제 등 새로운 환경에 대한 두려움도 예전 세대만큼 크지 않다. 

서울대를 졸업한 이창민 씨(29·가명)는 지난해 이민을 위해 2년간 다니던 직장을 주저없이 그만뒀다. 초봉 4000만원에 육박하는 A기업 전략기획팀에서 일하며 남부럽지 않게 잘 살고 있지만 앞으로의 양육비 문제, 교육비 문제 등을 고민한 끝에 부부가 동시에 새 터전에서 자리잡기로 결심했다. 

전문가들은 청춘들이 글로벌시대에 해외로 진출하는 것은 환영할 일이나 무작정 해외로 떠나려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오정은 IOM이민정책연구원 연구교육실장은 “기술직으로 이민 가서 편하게 먹고 살 수 있다는 식의 얘기는 아직 특수 사례다. 선진국에서 굳이 한국인을 써야할 이유가 없는 만큼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대의 이민열풍은 한국 현실에 대한 실망감의 표현이라는 말도 나온다. 정동일 연세대 경영학과 교수는 “나라를 떠나려는 젊은 세대의 심정은 대한민국에서 가능성을 찾지 못한 결과”라며 “정부는 20년 후를 바라보는 대책을 세우고, 기업들도 외국 문화에 대한 거부감도 적고 언어구사력도 뛰어난 젊은 세대가 활약할 기회를 마련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글도 찾아보세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