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칼럼 영화 ‘밀양’ 과 크리스천

첨부 1


- 임성빈(장신대 교수, 문화선교연구원 원장)

전도연의 칸 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과 함께 ‘밀양’은 예상보다 큰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그만큼 기독교 내부에서는 적지 않은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 영화에 대한 신앙인들의 평가가 매우 대조적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주목하는 이유

어떤 이들은 한 인간의 비극이 어떻게 극복될 수 있는가를 작가주의 관점에서 펼쳐나가면서 인간과 신, 고통과 용서의 문제를 통해 인간의 비극적 일상과 승화의 희망을 함께 일궈낸 수작이라고 평가한다.

반면 다른 이들은 기독교를 객관적으로 그리기보다는 여전히 기독교인들의 생뚱맞은 모습과 신앙의 희망 없음을 그리며 조롱하는 불쾌한 영화라고 보고 있다.

사실 밀양은 누구에게나 불편한 영화다. 기독교인들로서는 신앙이 온전한 삶의 희망으로 제시되지 못한다는 점에서, 비기독교인들에게는 기독교의 비중이 너무나 크게 자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편안하게 관람하기는 어려운 영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앙인들은 이 영화에 주목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도 이 영화는 우리들이 몸담고 있는 교회와 신앙인들의 삶을 직접적으로 그리고 있다. 이 영화의 묘사에 대한 동의 여부와 관계없이 신앙인들은 자신의 신앙의 진정성과 이웃의 눈에 비취는 우리의 모습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영화를 통하여 보여지는 교회와 신앙에 대한 세상 사람들의 선입견과 경험과 희망에 대하여 이제는 신앙인들이 관념이 아닌 구체적 삶으로(‘감추어진 태양빛’과 같이) 응답해야 한다는 책임감까지 느끼게 하기 때문일 것이다.

손님 같은 영화 ‘밀양’

밀양에 관한 논의가 소모적인 논쟁으로 비화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정 종교에 대한 비하나 비난의 의지가 없었다던 감독의 설명을 우리가 전향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면 우리의 소통의 광장은 더욱 더 넓어지게 될 것이다. 분명한 점은 영화 밀양이 인간의 비극적 현실과 그것을 극복하는 희망의 가능성을 다룸에 있어 기독교 신앙에 주목하였다는 것이다. 그것은 한국 교회와 신앙인들의 사회적 비중을 전제로 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우리에게 기독교인들의 사회적 책임을 다시 한번 기억하도록 도전한다.

또한 비극적 현실 속에서의 신의 섭리와 죄와 용서, 용서의 주체로서의 인간과 하나님 등에 대한 신학적 문제 제기는 신앙인들에게 자신의 신앙의 진정성을 신학적으로 통찰케 하는 중요한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어쩌면 이창동 감독의 영화 밀양은 기독교에 있어서 손님과도 같은 영화다. 그 손님은 적어도 우리가 편안한 마음으로 쉽게 맞이할 수 있는 친구는 아닐지라도 결코 적이나 불청객으로 취급받아서는 안 될 것이다. 나름대로의 관점에 따라 평가도 다를 수 있고, 그에 따른 감정도 다양하겠지만 예우를 갖추어 대화를 건네야 할 손님과도 같은 존재가 바로 밀양이 아닐까 싶다.

대중문화와의 적절한 소통을 통해 우리는 신앙인으로서의 ‘확신’의 진정성을 점검하고, 또한 그 확신을 대중과 나눔에 있어 요구되는 ‘교양’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확신과 교양이 어우러진 우리의 삶은 ‘숨겨진 태양빛’의 따사로운 햇살을 많은 이들이 느끼고, 고백하고, 향유할 수 있도록 초대하는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 출처 : 국민일보

이런 글도 찾아보세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