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칼럼 사람을 살리는 가족 치료

첨부 1


- 정태기 목사(크리스찬치유상담연구원 원장)

지금 서울에는 1천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다. 이들의 삶을 살펴보면 행복의 정도도 너무 다르고,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는 정도도 천차만별이다. 이들 중 불행하게 살고 싶은 사람이 있을까? 그 어떤 사람이 무능력하게 살고 싶을까? 인간이면 누구나 행복하게 살고 싶고, 능력을 마음껏 발휘하며 살고 싶어한다. 부부 갈등을 겪는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보았지만 불행하게 살고 싶어하는 사람은 단 한 사람도 없었다. 왜 불행하게 살고 있느냐고 묻자, 그들의 대답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 그렇게 됐다는 것이었다. 행복하게 살며 성공을 누리는 사람과, 불행하게 살며 실패에 빠진 사람 사이엔 어떤 차이가 있는가? 그 대답은 분명하다. 그들이 성장해 온 가정에서 하나님의 사랑을 얼마나 체험했느냐의 차이다.

인간은 동물이 아니다.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간직하고 있는 영의 실체다. 인간이 가장 행복한 상태에서, 강력한 창의력을 발휘하면서 살려면, 자신 안에 있는 하나님의 형상인 영에 불이 붙어야 한다. 영에 불을 붙이는 유일한 길은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하는 것이다.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사랑에 가장 가까운 사랑은 바로 내 가정, 내 부모의 사랑이다. 그러므로 가정에서 부모의 사랑을 충분히 경험한 사람은 그만큼 하나님의 사랑을 많이 체험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 역사를 이끌어 왔던 많은 사람들은 가정에서 부모의 사랑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을 충분히 경험했던 사람들이었다.

그뿐만이 아니다. 가정에서 하나님의 사랑에 가까운 부모의 사랑을 받아 본 만큼 이웃 사랑도 폭넓게 할 수 있다. 행복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과도 잘 어울린다. 이들은 자신을 있는 그대로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다. 그런데 이들 대부분은 가정에서 부모의 사랑을 충분히 받았던 사람들이다. 이런 면에서 가정은 이웃 사랑의 능력을 키우는 전초기지라 할 수 있다. 한 마디로 각박한 이 땅에서 천국을 즐기며 사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가정에서 천국과 같은 분위기를 체험했던 사람들이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은 수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그런데 어느 순간 플라톤은 다음과 같은 의문에 직면했다. 똑같은 교육을 받은 제자들이 왜 서로 다른 삶을 살아가는가? 플라톤은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발견했다. 그 원인은 그들이 성장해 온 가정에 있었다. 제자들은 그들의 부모가 어떤 사람이냐에 따라 서로 다른 삶을 살아갔다. 여기에서 유명한 플라톤의 가정 사다리 이론이 나왔다.

가정이란 아버지와 어머니라는 두 기둥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집단이다. 두 기둥이 양쪽에 튼튼하게 서 있을 때, 그 집에 사는 사람은 안정감을 갖는다. 또 아버지와 어머니가 서로 깊이 이해하고, 존경하며, 사랑하는 관계일 때, 아버지 기둥과 어머니 기둥 사이에 여러 개의 사랑의 사닥다리가 이어진다. 아이들은 어머니와 아버지 사이에 이어진 사랑의 사닥다리를 오르내리며 살 때, 몸과 정신, 영이 함께 건강해진다.

반대로 아버지 기둥과 어머니 기둥 사이에 불화가 일게 되면 자연히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에 이어진 사랑의 사닥다리도 함께 흔들리게 된다. 이 때 아이들은 흔들리는 사닥다리에 달라붙어 불안해하며 떨 수 밖에 없다. 플라톤이 발견한 것은 인생의 성공 여부, 그리고 행복의 여부가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랑의 사닥다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었다.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에 이어진 사랑의 사닥다리를 얼마나 오랫동안, 안전하게 오르내렸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운명이 좌우된다는 것이다. 플라톤에게서 똑같은 교육을 받은 제자들 중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랑 사닥다리를 즐겁게 오르내리며 성장했던 제자들은 자신의 기량을 마음껏 발휘하며 살았다. 그런 반면 이 사랑의 사닥다리를 즐기지 못하고 불안에 떨었던 제자들은 그들이 가진 기량을 발휘하지 못하는 삶을 살았다. 이런 사람들이 많은 교회나 사회, 국가는 그만큼 어둡고 살기 힘들어진다. 하나님은 교회와 사회 그리고 국가를 세우시기 전에 그 주춧돌로 가정을 만드셨다. 그래서 가정이 흔들리면 자연히 교회, 사회, 국가도 따라서 흔들리게 돼 있다.

그러면 오늘날 우리의 가정은 어떠한가? 미국은 결혼한 부부의 절반이 이혼하고, 한국은 삼분의 일에 가까운 부부가 이혼한다는 보고가 있다. 그렇다고 이혼하지 않은 부부는 행복한 부부라고 말할 수 있는가? 가정이 이렇게 흔들린다는 것은, 그만큼 상처 입은 사람들이 사회로 많이 쏟아진다는 것을 뜻한다. 우리의 교회, 사회, 국가의 미래가 위험에 처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오늘 우리에게 주신 가장 위대한 사명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가정을 살리는 일이요, 상처 입고 흔들리는 가족을 치료하는 일이다. 학교를 세우고 공장을 세우는 일도 중요하지만 그것은 가정을 살리고 난 다음의 일들이다. 왜냐하면 가정은 종교, 정치, 사회, 교육 등 모든 국가 제도를 지탱하고 있는 주춧돌이기 때문이다.

가정은 인간을 재창조하기 위해 하나님이 세우신 공장이다. 똑같은 공장인데, 어떤 곳에서는 좋고 훌륭한 그릇이 나오고, 어떤 공장에서는 금이 간 그릇이 나온다. 튼튼하고 큰 그릇은 많은 것을 담아내지만, 금이 간 깨진 그릇은 쓸모가 적어 많은 것을 담을 수가 없다. 교회가 힘들고 사회나 정치가 어두운 것은 모두 이렇게 깨진 그릇들 때문이다.

어지러운 덴마크를 품 속에 안아 다시 세운 그룬드빌트 같이 그릇이 큰 사람이 우리에겐 꼭 필요하다. 인구 2천만 명 정도인 유대인이 세계 노벨상의 65%를 휩쓸고 있다. 사람들은 유대인의 머리가 비상해서 그렇다고 말한다. 그러나 꼭 그것 때문만은 아니다. 유대인과 우리의 차이는 다른 데 있지 않다. 유대인 가정이 우리의 가정과 조금 다를 뿐이다. 유대인 가정에서 자라는 아이들은 부모의 사랑으로부터 하나님의 사랑을 충분히 체험하면서, 튼튼하고 큰 그릇으로 성장한다. 본래 사람은 큰 그릇으로 가정에 보내어진다. 그러나 성장 과정에서 가정 분위기가 흔들리고 불안하면 아이의 큰 그릇은 점점 위축된다. 또한 너무 심하게 가정이 흔들리면 금이 가기 시작한다. 결국 이런 마음의 그릇을 가진 사람은 건강한 일, 모든 사람을 받아들이는 일, 창의적인 일을 감당해 내지 못한다. 그들은 쉽게 절망하고, 쉽게 흔들리고, 쉽게 쓰러진다.

우리 교회가 살아서 큰 역사를 이루어 내고, 이 민족이 세계에 빛을 밝혀주는 민족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크고도 튼튼한 그릇을 만들어 내는 가정을 살려야 한다. 가정을 살리는 가장 구체적인 방법이 바로 가족 치료다.

- 출처 : 크리스천투데이

이런 글도 찾아보세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