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설교 엘리후의 계속 연설 (욥 34:1-37)

첨부 1


엘리후가 말을 이어 가로되 라는 표현은 그의 연설이 잠시 중단되었던 것을 암시합니다. 본문은 엘리후의 네 가지 연설 중 두 번째 연설입니다. 엘리후는 그들에게 이제 자기가 한 말을 듣고 심사숙고 해 보고, 그리고 자기들 나름대로 진실성 여부를 적절히 판단해 보라고 요구합니다. 여기서 엘리후는 욥의 말을 적절히 인용해 가면서 혹은 간접적으로 자기가 이해한대로의 욥의 의도를 지적해 가면서 욥의 잘못을 열거합니다. 엘리후가 지적한 욥의 잘못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1) 욥이 스스로 의롭다고 주장한 것. (2) 적어도 그 숨은 의도에 있어서 욥은 하나님을 의롭지 않다고 한 점. (3) 하나님을 경외하는 신앙, 즉 종교가 인간에게 아무런 이익도 가져다 주지 않는다고 욥이 고집하는 것입니다. 이 마지막 것은 욥의 말에서 인용된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그가 이 세상에서는 오히려 악한 자가 잘 살고 의인이 불행하게 된다는 것을 과장해서 말한 것을 근거로 욥의 입장을 그렇게 정리해 보는 것입니다.

1. 재판소 설정(1-4절) 맛 있는 요리와 맛 없는 요리는 입이 잘 분별합니다. 말은 귀가 분별합니다. 지혜있는 자는 귀는 참된 말을 분별합니다. 말씀을 분별한다는 것은 큰 은혜입니다. 불건전한 신비주의를 따라 다니는 자는 말씀을 분별 못하는 자들입니다. 교역자는 하나님의 말씀을 잘 요리해서 먹어야만 합니다. 재판은 공의와 불의를 가려 내는 일입니다. 따라서 여러 사람의 말을 듣고 재판을 정확히 해야 합니다. 욥의 경우에도 그를 바로 판단해야 하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2. 기소를 제기함(5-9절) 욥은 자기가 죄 없다고 했습니다. 욥 16:17에 “그러나 내 손에는 포악이 없고 나의 기도는 정결하니라”고 했습니다. 욥은 이렇게 거듭 주장하고 있습니다. 욥의 이 주장은 하나님 앞에 죄가 없는 무죄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고 너희들이 주장하는 그런 벌받을 악인은 아니라는 주장입니다. 인간의 무죄를 주장하는 자를 기소할 때가 옵니다. 엘리후는 욥이 악을 도모하기 위하여 악인과 함께 다녔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 세상에 살자면 신자가 악인과 동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죄가 될 수 없습니다.

3. 욥의 잘못을 확정함(10-20절) 엘리후는 욥의 세 번째 결점에 관한 논의는 잠시 뒤로(35장) 미룹니다. 엘리후의 기본 관심사는 아직까지도 인간의 이중적 과오, 즉 자기의 의로움을 고집하면서 하나님을 불의하다고 하는 과오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특히 12절과 23절은 이와 같은 엘리후의 가장 핵심적 사상을 반영한 것으로써 하나님의 절대적인 의, 곧 하나님의 의로우심이 절대로 의심받을 수 없다는 점과 하나님의 무사공평하심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악을 행치 않으신다. 그리고 전능자는 공의를 굽히시지 않는다고 하는 이 두 사상, 그리고 합리적인 사고를 할 줄 아는 모든 사감들이 여기에 다 동의한다고 하는 것은 엘리후에게 있어서는 아주 근본적인 전제입니다. 이와 같은 엘리후의 태도는 이전의 세 친구들의 입장과 크게 다를 바 없습니다. 그러나 접근 과정에 있어서 차이가 있습니다. 욥과 그의 친구들은 다 욥의 특수상황에 입각하여 문제를 설정하려 했거나 반박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엘리후는 비록 뚜렷한 모순에 부딪혀도 견딜 수 없는 원리원칙으로 돌아갑니다. (1) 10-15절의 사상은 하나님의 생각과 악인의 생각은 서로 양립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엘리후의 관점은 비록 인간의 표준으로 볼 때 하나님께서 그릇되게 판단하시는 듯하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는 점입니다. 오히려 엘리후의 입장은 하나님의 전능과 섭리가 절대적인 의를 전제한다는 것을 고집하는 것입니다. 흙으로 빚어지고 하나님의 기운을 받아 생명체가 된 인간이 만일 하나님께서 그의 기운을 거두시거나 인간에 대한 관심을 거두신다면 인간 존재도 종말을 고하고 만다는 것입니다. 결국 인간의 생면이란 전적으로 파생체에 불과합니다. 반드시 하나님의 창조적 내지는 섭리적 능력에 의존하는 오직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만 설명이 가능한 파생적 존재임이 분명합니다. (2) 16-20절에서 엘리후는 하나님의 의가 특히 그의 통치 즉 악한 자를 억압하고 인간사의 질서를 유지하여 불의한 자를 끊어버리는 데서 나타납니다.

4. 하나님의 통치(21-30절) 위와 같은 신앙은 본질적으로 초월신관입니다. 그는 홀로 세계를 통치하시고 자신을 위해 모순됨이 없이 행동하시는 하나님이십니다. 그의 일하시는 방법은 사람에게는 전혀 알려지지 않다는 점입니다. 물론 이점이 바로 욥의 불평인 것입니다. 거기에 대해 엘리후는 그것이 바로 “하나님께서 일하시는 방법”이라고 말했습니다. 하나님께서 인간이 생각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 행동한다 하더라도 인간은 거기에 대해 의의를 제기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통치는 본문에서 갑자기 심판이 임하심으로 더욱 하나님의 통치권은 인간의 생각 밖에 있음을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5. 하나님의 징계(31-37절) 욥이 악한 자들이 오히려 더 잘되고 악한 행위에 대한 보응을 받지 않고 있다고 불평하자 엘리후는 하나님께서 악을 보복치 않을 때는 그 악을 행한 자가 남몰래 회개했기 때문이라는 점입니다. 욥이 형벌의 위협을 받고 자기가 고발당한 내용을 알기를 원한다 해도자기가 원하는 만큼 반드시 그렇게 충분한 해답을 받은 것은 아니라는 뜻입니다. 엘리후는 총명한 자들과 지혜있는 자들에게 동의를 호소하면서 그리고 욥을 악하다고 저주하면서 그의 2차 연설은 끝납니다. 욥의 친구들이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엘리후 역시 욥의 항거는 죄책감의 말로이며 죄의 확증이라고 단정하면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엘리후는 욥의 항거 자체를 방금 그가 묘사한, 초월해 계시고 전지전능하신 그 하나님께 대한 반항이라고 봅니다. 잠 3:11에 “내 아들아 여호와의 징계를 경히 여기지 말라 그 꾸지람을 싫어하지 말라”라고 했으며, 렘 31:18에 “아브라함이 스스로 탄식함을 정녕히 들었으니 이르기를 주께서 나를 징벌하시매 멍에에 익숙치 못한 송아지같이 내가 징벌을 받았나이다”라고 하였고, “주는 나의 하나님이시오니 나를 이끌어 돌이키소서 그리하시면 내가 돌아오겠나이다”(렘 26:40-43). 이것이 징계를 바로 받는 태도입니다. 이릴 때 진정한 회개를 하나님이 주십니다. 미 6:9에 “너희는 매를 순히 받고 그것을 정하신 자를 순종할지니라”고 합니다. 하나님이 징계하신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죄를 깨닫고 다시 범죄치 못하도록 하는데 있습니다. (2) 성결의 열매를 맺게 하기 위함입니다. (3) 약한 부분을 강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그러므로 우리에게 징계로 인한 어려움이 닥칠 때 하나님께 우리의 죄를 회개하고 자신을 새롭게 함으로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성도가 되어야하겠습니다.

이런 글도 찾아보세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