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예화 [고도원의 아침편지] 어떻게 혼자 가요

첨부 1



'금강산의 이산(離散) 시인'
52년 수절 끝에 북쪽 남편 임한언 할아버지(74)를
만난 정귀업 할머니(75)는 이번 방북 기간에 이렇게
불렸다. 정할머니가 내뱉는 말 한마디 한마디에선
시(詩)보다도 절절한 이산가족의 한과 정서가
묻어났기 때문이다.

"지금도 못 만났으면
넋새가 되어 울고다닐 것이다"
반세기 동안의 이산과 상봉의 한을
정할머니는 이렇게 표현했다.

남편 손을 잡고 금강산 구룡연을 찾은
정할머니는 "하늘과 땅을 합친 것 만큼 좋다"고
기뻐하더니 헤어지면서는 "시곗바늘이 한 점도
쉬어주질 않아요. 가다보면 아주 가는 날 있겠지.
그 때는 후회없이 가자"고 말했다.

그리고 작별상봉 때는 남편에게
연인처럼 다짐을 놓았다.
"사진 보며 내 생각해요. 나도
보고싶으면 사진 볼 거야."

그러나 그것도 잠시, 또다시 기약없는 이별이
다가오자 참았던 눈물을 터뜨리고야 말았다.
"52년동안 혼자 살았는데 어떻게 또 혼자 가요.
나 집에 안 갈거야. 이제 어떡하라고요...."
정할머니는 남편 품에 얼굴을 묻은 채
오랫동안 도리질을 했다.

-동아일보(5월1일 A29쪽) 금강산 취재단의
《이산의 시인(詩人) 정귀업 할머니》기사 중에서 -

*정귀업 할머니의 찢어지는 아픔이 우리의 아픔입니다.
우리 민족의 슬픔입니다. 우리 역사의 비극입니다.
52년 동안 숯처럼 타버린 그리움의 한(恨)이 어떻게 하루
상봉에 풀릴 수가 있겠습니까. 우리도 그저 도리질치는
할머니와 함께 울며 "사랑해요, 할머니. 힘내세요,
할머니." 라고 말씀드릴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글도 찾아보세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