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예화 아낌없이 주는 나무

첨부 1


          

아낌없이 주는 나무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 누리는 많은 즐거움과 유익은 그냥 저절로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누군가의 희생이 있었고 그 대가를 지불했었기에 주어지며 받아 누리는 것이다.
이것은 인생의 길이나 자연의 법칙에도 어김없이 이어지고 있다.

집 주위에 자라는 감나무를 비롯하여 여러 실과(實果)들은 이 겨울에 죽은 듯이 앙상한 가지만 남겨있다. 이제 조금 있으면 새로운 움이 트고 그 나무에 맞는 옷을 입을 것이다.
그 앙증스런 싹이 돋기 전에 가지치기를 해 준다.
그래야만 나무가 몸살하지 않고 병균이 침범하지 않을 가장 적당한 시기이다.
가지치기 대상은 지난해에 웃 자랏던 가지, 균형을 헤치는 가지 그리고 병들고 썩은 가지를 잘라낸다. 자라는 대로 그냥 내버려두면 부족한 영양분이 모두 가지로만 모여들어 실한 열매보다는 잎과 가지만 자라는 기형아가 돼 버린다.

올해도 가지치기를 하며 지난해처럼 다발로 묶어서 한 쪽에 모아놓았다.
이제 한 해가 지나는 동안에 햇볕에 잘 말라서 땔감으로 쓰기에 적합한 상태가 된다.
오후 한 나절을 가지치는 작업을 하지만 힘든 줄 모르며 일하는 즐거움을 누렸다. '노동은 곧 기도'라고 말했던 것처럼 나무와의 말없는 대화도 내 영혼을 새롭게 해주며 삶의 활력을 불어 넣어주었다.

해가 뉘엿뉘엿 넘어갈 때에 일을 마치고 온돌방의 아궁이에 불을 지핀다.
잘 말린 나뭇가지가 기다렸다는 듯이 잘도 타 들어간다. 가마솥에 물이 뜨거워지면
욕실에 설치한 수도꼭지에서는 온수가 나와 땀 흘린 몸을 씻어준다.
제법 굵은 나무는 적당한 크기의 숯으로 활 활 타오르게 된다. 나무에 묻은 모든 껍질과
더러운 것도 타오르는 불 앞에 다 사라지고 정금 같은 순수한 불덩이만 남아서 한 줌의
재가 되기까지 자신의 몸을 서로 태우는 것이다.
이 때 부지깽이로 숯불을 약간 꺼낸 후 적쇠를 놓고 호일을 깔고 두껍게 썰어놓은
돼지고기를 엊히고서 고기를 굽는다. 여기에는 굵은 소금을 적당히 뿌려놓으면 노릇노릇  
익어간다. 기름이 타면서 나오는 연기는 아궁이 환풍기를 통해 굴뚝으로 빠져나간다.
도시처럼 자주 외식(外食)은 못하지만 가끔 이러한 숯불고기 파티는 여기에서만 누리는
생활의 즐거움의 하나이다.

고기를 굽고도 여전히 불길은 남아있다. 이 때 물 조리로 불을 끄면 그대로 시커면 숯이
만들어진다. 이 숯은 자신의 자라난 흙으로 가서 토양을 정화시키며 거름이 되어 그 일생을
마친다.

아낌없이 주는 나무는 꽃과 열매를 주고 여름에는 시원한 그늘이 되어주며 새들의 보금자리
가 되며 우리에게 신선한 산소를 준다. 다 자라면 우리 삶의 필요한 목재가 되지만 잘려진
가지도 이처럼 한 줌의 재가 되어 흙으로 돌아가기 까지  우리에게 따뜻한 물과 음식을 익
혀주며 마지막 남은 숯까지도 유용하게 쓰여지도록 아낌없이 내어준다.
인간들의 이기와 개발의 논리로 무참하게 베어진 나무를 그대로 방치하는 모습을 볼 때마다
인고의 세월을 자랐을 나무의 삶을 생각해 본다.  

이제는 시골에도 편리한 기름 보일러를 사용하여 예전에는 남아나지 않던 숲의 간벌된 나무
들이 그대로 방치되고 또 쌓인 낙엽들로 인해 산불의 촉진제가 되어 해마다 봄이 되면 산불
비상이 걸린다.
고유가 시대에 아낌없이 주는 무공해 나무들을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할 때이다.

활뫼지기 박종훈


이런 글도 찾아보세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