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정보&강의 sheepit 렌더링 팜 CPU vs GPU 렌더링 시간 비교

첨부 3

  1. image.png (File Size: 25.2KB/Download: 0)
  2. image.png (File Size: 13.5KB/Download: 0)
  3. image.png (File Size: 21.6KB/Download: 0)

sheepit-renderfarm.com 이라는 렌더링 팜을 알게 되어 여러가지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블랜더가 랜더링이 엄청 오래걸리는데, 대학 과제물을 출력하는 딸래미의 과제 출력을 도와주다가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픽을 전공하는 딸이 앞으로 전문적으로 렌더링을 하게 된다면, 고가의 GPU가 필요하게 될텐데 대체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싶었습니다.

 

먼저 sheepit은 렌더링 품앗이 플렛폼입니다.

자신의 그래픽 시스템을 공유하고 자신도 타인의 시스템 자원을 이용해서 렌더링 가속을 얻는 형태입니다.

자신이 타인에게 자원을 공유하였다면 포인트가 쌓이게 되는데, 이를 통해 자신도 타인의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렌더링시 동시에 노드 20개가 활성화되어 시간을 20배 정도 절약할 수 있게 됩니다.

 

시스템 자원을 공유하는 유저들은 cpu와 gpu 자원을 공유하는데 오늘은 이 둘의 렌더링 차이를 테스해 보았습니다

 

프로젝트는 250프레임의 동일한 프로젝트를 이용하였고 mp4 출력을 이용하였습니다. 물론 별개로 이미지 파일로도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image.png

 

CPU 사용시

image.png

GPU 사용시

image.png

 

렌더링이 완료되면 여러가지 정보가 나오는데 역시 제일 중요한 것은 최종 렌더링 시간입니다.

 

GPU는 2시간 12분, CPU는 7시간 24분이 걸렸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RTX 3070 8G 시스템에서 로컬로만 렌더링하였을 때 약 5시간이 걸렸던 파일입니다.

 

결론적으로 sheepit의 렌더링 팜은 효율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당연히 로컬 RTX 3070 시스템보다 좋았는데, 이는 로컬 GPU도 동시에 사용하면서 다른 공유자들의 시스템 리소스를 활용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동시에 프레임을 분산하여 렌더링하는 것이 속도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네요.

 

하지만 문제도 있었는데, 공유자의 시스템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이에 따른 각 프레임의 렌더링 시간이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었고 이는 최종 출력물의 렌더링 시간을 예측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됩니다.

 

cpu의 경우 그런 경우가 심했는데 참여하는 노드는 많아지지만 최종 출력에서는 하나의 노드가 너무 느려서 결과적으로 너무나 늦은 렌더링 결과가 도출되었습니다.


이런 글도 찾아보세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