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설교 자기를 낮추며 사는 사람들 (눅14:7-11)

  • 잡초 잡초
  • 415
  • 0

첨부 1


- 설교 : 김일해 목사

목사들이 늘 설교를 합니다만 가끔씩 드는 생각이 있습니다.‘내가 오늘 설교를 잘했나? 못했나?’하는 것이 참 궁금할 때가 있어요. 그래서 목사들이 예배를 마치고 듣는 말 중에 가장 기분좋아하는 말이“목사님, 오늘 설교에 은혜 받았습니다.”하는 말입니다. 이 말 싫어하는 목사는 한 사람도 없습니다. 또 이말 듣고 기분 좋아하지 않는 목사도 한 사람도 없습니다.

어느 목사가 주일날 설교를 한 뒤 무척 우쭐해졌습니다. 그 이유는 자신이 듣기에도 자기의 설교가 꽤 근사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 목사는 교인들의 반응이 궁금했습니다. 그런데 사실 어느 목사라도 교인들을 붙잡고“오늘 내 설교 어땠습니까?”하고 물어 볼 수는 없는 노릇이거든요. 무척 궁금했는데 꾹꾹 참다가 아내와 함께 집으로 돌아오면서 내심 칭찬 내지는 좋은 평가를 기대하면서 넌지시 아내에게 물었습니다.“여보, 이 세상에 설교를 잘하는 사람이 과연 몇 사람이나 될 것 같소?”그러자 아내가 묘한 웃음을 지어 보이면서 대답했습니다.“글쎄요. 모르긴 해도 당신이 생각하는 숫자보다 한 사람은 적을걸요.”하더랍니다.

사람에게는 누구를 막론하고 자기의 가치가 높이 인정받기를 원하는 마음이 있습니다. 누구나 태어나면서부터 자기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꼭 큰소리로 울음을 울면서 생을 시작합니다. 그리고 자라가면서는 상황에 따라 자기의 자랑거리를 나타내기를 좋아하고 때로는 잘난체하기도 하며 남들에게 자기의 장점을 뽐내기를 좋아하고 그러다보면 때때로 남을 배려하지 못하고 자기만 드러내는 등 건방지게 굴 때도 많습니다. 이러한 인간의 성품을 우리는<교만>이라고  말합니다. 누구에게나 다 남아 있는 성품의 흔적들입니다. 그렇습니다. 사람은 누구에게나 이 교만이라고 하는 것이 있는데 이것을 어떻게 제어하며 사느냐가 그 사람의 인간됨을 말해줍니다. 그런데 여러분, 이 교만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겠습니까?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나름대로 이 교만의 성품을 이기기 위해 갖가지의 방법들로 자기를 다스립니다. 명상을 합니다. 수행을 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이 교만을 어찌할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성경은 그 방법을 일러줍니다. 겸손 하라는 것입니다. 내가 교만하지 않으면 된다고 하여 아예 나타나지 않는 것은 소극적인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대로 죽은 듯이 없는 듯이 사는 것이 결코 겸손이 아닙니다. 겸손이란 분명히 있어야할 자리에서 나를 낮추는 것입니다.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는 자리에서 나를 스스로 낮추는 것입니다. 이것이 적극적인 겸손입니다.

오늘 날 이 겸손이 없어서 교만한 시대가 되어버렸습니다.[로널드 고에츠]라는 사람이 오늘날을<반 겸손의 시대>라는 말로 표현했습니다. 그러면서 그 뿌리를 사상적 문제로 올라가서[칼 막스],[프로이드],그리고 철학자[니체]를 꼽습니다, 막스의 이론이나 프로이드의 사상이나 니체의 인간을 초월한 철학은 뭘 말하고 있느냐를 면밀히 살펴보면 그 속에는 하나같이 겸손은 미덕이 아니라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들의 이론에 의하면 겸손은 인간을 억압하는 것이며 인류 발전을 저해하고 있는 요소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겸손을 버려라 겸손하다가는 망한다는 것입니다. 공산주의에 겸손이란 없습니다. 언제나 과시하려고 하고 뽐내려고 합니다.
이 겸손이 없는 시대의 특징은 자기 자랑입니다. 틈만 나면 자기 PR을 하게 됩니다. 그래야만 살아남는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에 무슨 인간성이 있겠습니까? 사회성이 있겠습니까? 소중해야 할 삶의 아름다움은 전쟁터로 바꾸어졌습니다. 부부간에도 생존경쟁을 합니다. 칼로 물 베기라던 부부싸움이라는 것도 이제는 전투수준입니다. 네가 죽나 내가 죽나 보자는 겁니다.

여러분 겸손이 힘이라는 것을 생각해 보셨습니까? 겸손이 덕이라는 것을 여러분이 어느 정도 인정하고 살아가고 있습니까? 가만히 보면 겸손한 자만이 감사할 수 있습니다. 고전10장30절에 보면“감사하는 것에 대하여 누가 비방을 받으리오.”라는 말씀이 있습니다. 이게 무슨 말입니까? 우리가 잘 아는 너무나도 쉬운 얘기가 아닙니까? 웃는 얼굴에 침 뱉는 법 없습니다. 내가 감사하는데 누가 나를 왕따 합니까? 내가 겸손한데 누가 나를 괴롭히더란 말입니까? 깊이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되어먹지 못한 교만이 그 속에 꿈틀거리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얼굴은 피지를 못 하는 것이요, 사람도 얻지를 못하는 것입니다. 친구가 없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 사람들을 보면 참 불행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왜 불행해 졌느냐를 생각해야합니다. 왜 친구가 없는지를 돌아보아야합니다. 왜 사람이 반갑질 않는지를 알아야합니다. 왜입니까? 교만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감사가 없고 늘 불만만 있습니다. 여러분 자기 스스로를 한번 점검해 보시기바랍니다. 여러분의 겸손은 어디까지 왔습니까? 자신에 대해서 불평이 얼마나 많습니까? 자기 능력, 자기 지혜, 좀 더 나가서 거울을 보면서 자기 얼굴에 대해서 불만이 많습니까? 그만하면 되었습니다. 조그만 더 잘났더라면 큰일 날 뻔했습니다.

언젠가 텔레비전에 보니까 젊었을 때 꽤 예뻤던 사람이 늘 자기 얼굴을 보면서 더 예뻤으면 하는 마음에 여러 번 수술을 했습니다. 나중에는 얼굴에다가 자기 스스로 식용유도 집어넣고 하다가 얼굴이 아주 흉해진 사람이야기가 나왔습니다. 더군다나 정신적인 문제까지 생겨서 병원에 입원한 것을 보았는데 얼마나 불행합니까? 처음 모습, 그만하면 되었는데 이제는 돌릴 수가 없습니다. 자기됨에 대하여 불만과 원망이 많은 사람은 교만한 사람입니다. 그래서 감사가 없습니다. 그런데 왜 자신에 대해 불만과 원망이 일어나는 것입니까? 자신에 대한 착각 때문입니다. 지나친 이기적인 생각, 자기중심적인 생각이 교만을 만들기도 합니다.
또 다른 경우 남이 나에게 대하는 것이 못 마땅해서 화가 날 때가 있습니다. 사십이 넘었으면 자기 얼굴에 책임을 지고, 오십이 넘었으면 주변 환경에 책임을 지라고 그랬습니다. 이 말처럼 내가 남에게 친절하게 늘 해왔으면 주변 사람들이 다 나에게 친절하게 대할 것입니다. 그런데 웬일인지 모든 사람이 내게서 멀어지고 있으면 문제는 내게 있는 겁니다. 내가 어떻게 했기에 사람들이 저럴까를 생각해야하는데 여기에 대해서 뉘우칠 생각은 안하고 불만만 많습니다. 이것도 교만입니다.
또 하나의 교만이 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내게 주신 은사, 내게 주신 경륜, 내게 주시는 이 환경, 내 처지, 내 지위, 하나님이 내게 하시는 일에 대하여 원망이 많습니까? 그것은 교만입니다.‘나는 부족한데 분에 넘치도록 하나님은 내게 은혜 주셨다. 하나님은 참 좋으신 하나님이다.’라고 감사가 느껴지면 겸손한 사람입니다. 그러나‘하나님 참 한평생 나를 괴롭히는구만요.’하는 원망이 있다면 교만한 사람입니다. 여기서 여러분의 겸손 지수를 점검할 수 있습니다. 겸손한 사람에게 감사가 있고, 은혜가 있지만 교만한 사람에게는 불만이 있고 원망이 있습니다.

오늘 본문에서 주님께서 겸손이 무엇인지를 말씀하고 계십니다. 본문의 배경은 이렇습니다. 하루는 바리새인이 예수님을 초빙했습니다. 그런데 예수님을 초빙한 데는 속셈이 따로 있었습니다. 예수님을 사랑해서라든가, 존경해서라든가, 예수님의 가르침을 듣고자, 예수님의 제자가 되고자 하는 좋은 뜻에서 모신 것이 절대로 아닙니다. 한 마디로 자기의 위치를 높이고자하는 교만에서 예수님을 초빙했습니다. 뭇사람들에게 우러름을 받으시고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을 따릅니다. 병자도 고쳐주시고, 좋은 말씀도 해 주시고, 능력을 보여주시기도 합니다. 그런 인기 있는 사람을 자기 집에 모셔서 자기의 신분을 과시해 보려는 교만한 속셈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마침내 잔치는 시작되고 사람들은 저마다 한 자리를 잡고 앉아야합니다. 그런데 초대 받은 사람들 역시 주인을 닮아서 그런지 전부가 윗자리를 찾습니다. 하기야 끼리끼리 논다고 바리새인이 초청한 사람들이 뻔한 사람들 아니었겠습니까? 항상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는 이 자리 문제가 아주 민감합니다. 우리 옛 어른들도 보면 둥그런 상에 들러 앉는데도 이상하게 윗자리 아랫자리가 구분됩니다. 윗목 아랫목에 유달리 신경을 곤두세우곤 합니다. 오늘 본문에 나오는 이스라엘 사람들도 그랬던 것 같습니다. 좀 더 위에, 좀 더 높은 데에 앉고자합니다. 어쩌다 윗자리에 자리 잡고 앉았는데 주인이 오더니“당신 보다 높은 손님이 오셨으니까 좀 내려앉으시오”해서 망신을 당하기도하고 아랫자리에 앉았다가 윗자리로 옮겨가기도 합니다. 예수님께서 이런 추태를 보셨습니다. 그리고는 제자들에게 실물교육을 하십니다.“네가 누구에게나 혼인잔치에 청함을 받았을 때에 상좌에 앉지 말라.”차라리 낮은 자리에 앉았다가 주인이 와서 높은 자리로 옮겨 줄 때 그것이 훨씬 영광스러운 일이라고 처음부터 스스로의 겸손을 가르치시는 것입니다.

예수님이 말씀하시는 핵심은 자신의 가치는 자기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알라는 것입니다. 사람이 자기를 아무리 높인다고 해서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높게 봐주어야 높아질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자기 스스로 높아지려고 하는 사람보다는 스스로 낮아지는 사람이 훨씬 더 보기가 좋고 그런 사람일수록 높여 주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브라함 링컨]은 두 가지 외모적 특징이 유명합니다. 하나는 키가 크고 다리가 너무 길어서 의자를 맞추어야할 정도였다는 것과 두 번째는 얼굴이 하도 못 생겼다는 것입니다. 너무 못 생겨서 어떤 초등학생이“수염을 길러 보십시오.”그래서 그 다음부터 못생긴 얼굴을 위장하기 위해서 턱수염을 길러가지고 그 만큼도 보기 좋게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어느 날 야당 국회의원이 링컨의 정면에다 대고“저 사람은 이중인격자요 두 얼굴을 가진 남자입니다.”라며 비방했답니다. 이때 링컨이 빙그레 웃으면서 하는 말이“내가 두 얼굴이 있다면 하필이면 왜 이 못생긴 얼굴을 가지고 여기 나왔겠습니까? 잘 생긴 얼굴을 가지고 나오지”이렇게 여유 만만하게 대답했다는 유명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여러분 이것이 겸손의 모습입니다. 겸손은 오해를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비방을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겸손은 언제나 넘치는 여유가 있습니다.

이솝 우화에 보면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느 집에 나귀와 수탉이 같이 살고 있었습니다. 하루는 무서운 사자 한 마리가 울을 뛰어 넘어 들어왔습니다. 사자를 본 나귀는 눈앞이 캄캄하여 옴짝달싹 못하고 수탉은 놀란 나머지“꼬끼오”소리를 지르면서 지붕위로 뛰어 올랐습니다. 그런데 닭 우는 소리를 들은 사자는 몸을 움츠리더니 그냥 울 밖으로 뛰어서 도망을 치는 것이었습니다. 이 모습을 바라보던 나귀가 짐승의 왕이라는 사자가 닭 우는 소리를 듣고 헐레벌떡 도망치는 모습이 하도 우습게 보여서 자기가 도망치는 사자를 뒤쫓아 가서 혼내줄 모양으로 달려갔습니다. 그런데 한 참을 쫓기던 사자가 닭 우는 소리가 들리지 않을 만큼 되자 뒤돌아서서 쫒아오는 나귀를 잡아먹어 버렸습니다. 사자가 닭 우는 소리에 놀라서 도망친 것은 닭이 무서워서가 아니라 닭 우는 소리에 날이 밝아서 사람들이 몰려올까 두려웠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어리석고 교만한 나귀는 자기는 항상 듣는 닭 우는 소리에도 두려워서 도망치는 사자가 깔보였던 것이지요. 그 얼마나 착각이요, 어리석은 판단입니까? 우리는 스스로 교만하여 나귀처럼 인생길에서 착오와 어리석은 판단을 내릴 때가 얼마나 많은지 모릅니다. 그러므로 성도는 오만이나 교만 때문에 자신의 근원을 잊어버리고 인생을 그르치는 어리석은 사람이 되어서는 아니 될 것입니다.

사랑하는 성도여러분!
오늘 예수님께서는 스스로 낮추라는 진리의 말씀을 하십니다. 내가 스스로 나를 낮춘다는 것입니다. 남이 낮추어서 낮아지는 것은<심판>입니다. 내가 낮추어서 내가 낮아지는 것이<겸손>입니다. 남에 의해서 억지로 낮춰지는 것은 망신입니다. 하지만 남이 뭐라고 하든 간에 그것과는 상관없이 내가 나를 스스로 낮추는 것이라면 그야말로 참 겸손이라 할 것입니다.
더욱 중요한 것은 내가 스스로 낮아질 때 하나님이 나를 높여주신다는 진리입니다. 높이는 분은 따로 있습니다. “무릇 자기를 높이는 자는 낮아지고, 자기를 낮추는 자는 높아지리라(11절)”명심하실 것입니다.

이런 글도 찾아보세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