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설교 세례요한을 생각함 (마 3:1-12)

  • 잡초 잡초
  • 299
  • 0

첨부 1


세례요한을 생각함
Thinking of John the Baptist
마태복음 Matthew 3:1-12

세례요한은 누구입니까? 그는 왜 그렇게 광야에서 청춘을 다 보냈습니까? 그는 왜 스스로 를 “광야에서 외치는 소리”라고 했습니까?
Who was John the Baptist? Why did he spend his young days in the desert? Why he identified himself as "the voice in the wilderness"?

그는 예수님보다 6개월 먼저 출생했습니다. 그는 예수님처럼 성령님의 감화 감동하심으로써 잉태되었습니다. 물론, 그의 어머니는 동정녀가 아니었지만, 하나님의 은혜 아니고는 그를 낳을 수 없는 처지였습니다. 그 여자는 나이가 많았습니다.
He was born 6 months before Jesus Christ. He was born wit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Even though his mother was not a virgin, she could not have him without the grace of God. She was too old.

그의 아버지는 스가랴(Zechariah) 제사장이었습니다. 아비야 반열에 속했습니다. 그의 어머니는 엘리사벳(Elezabeth)이었습니다. 아론의 자손이었습니다. 둘 다 나이 많았습니다.
His father was Zechariah, the priest. He belonged to the priestly division of Abijah. His mother was Elezabeth, a descendant of Aaron. They were very old.

스가랴는 성전에서 분향할 차례가 되었습니다. 1년에 한 차례씩 순서를 맡는 대로 그런 차례가 온 것 같습니다. 그가 분향하고 “민족을 위해서 기도”했습니다. 아마 요즘 말로는 대표 기도하는 그런 뜻인 것 같습니다.
Zechariah's division was on duty and he was serving as priest before God. And he was chosen by lot, according to the custom of the priesthood, to go into the temple of the Lord and burn incense.

천사가 나타났습니다. 분향제단 우편입니다. 사가랴가 놀라서 무서워했습니다. 그러자 천사가 말했습니다: “사가랴여, 무서워 말라. 너의 간구함이 들린지라.”
And an angel of the Lord appeared to him. Zechariah saw him, startled and gripped with fear. And the angel said, "Do not be afraid, Zechariah; your prayer has been heard."

사가랴의 기도가 응답되었다고 했습니다. 요한계시록 5:8을 보면, 네 생물과 24 장로들이 향이 가득한 금대접을 들고 섰는데, 그 향은 곧 성도들의 기도라고 했습니다. 그러니까, 성도들의 기도가 금대접에 담겨져 하나님 나라에 올라갔다는 뜻이 되겠습니다. 이 전달을 천사가 맡았다고 쉽게 상상할 수 있습니다.
Zechariah's prayer was heard. According to Revelation 5:8, the four living creatures and the twenty-four elders were holding golden bowls full of incense, which are the prayers of the saints. Christians' prayers are brought to the heaven as the incense in the golden bowl. Angels might have served the delivery.

스가랴의 기도가 응답되었다는 말은, 천사가 가지고 간 금대접의 기도가 하나님 앞에 도착했다는 것과, 하나님께서 그 내용을 보시고 그대로 이루기로 결심하셨다는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그 천사는 그에게 그 사실을 전하고 있는 것입니다.
That Zechariah's prayer was heard means his prayer was delivered to God and God decided to answer him. The very angel is reporting the fact.

스가랴가 드린 기도는 어떤 내용이었을까요?
What did Zechariah pray for?

1. 그는 민족을 위해 기도한 사람입니다. 민족의 구원을 호소했습니다. 민족의 구원은 메시야가 오셔야 될 일이니까, 메시야를 기다린 기도였습니다. 이제 그 기도가 응답되었다는 말은, 메시야가 오실 때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1. Zechariah prayed for the nation. He asked God for the salvation of the nation. He waited for Messiah; national salvation was possible only with the advent of the Messiah. As his prayer was heard, the time came for the Messiah to come.

2. 아들을 낳기 위해 기도했습니다. 스가랴와 엘리사벳이 아들을 기다렸다는 구체적인 언급은 없지만, “네 기도가 응답되었다” 하시고는 곧 “네 아내 엘리사벳이 네게 아들을 낳아 주리니, 그 이름을 요한이라 하라” 했습니다. 그러니까, 그들은 아들을 얻기 위해 기도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2. He might have prayed for getting a son. There is no clear mention that Zechariah and his wife waited for a son. But as the angel said "Your prayer was heard," he continued, "Your wife will give birth a son to you, and his name will be John." Accordingly, we can guess that they prayed for a son.

이제, 이 두 가지 기도는 따로된 것이 아닙니다. 하나입니다. 민족을 구원하실 일에 있어서, 하나님께서는 사가랴와 엘리사벳을 통해 날 아기, 즉 세례요한을 사용하실 것이기 때문입니다.
The two prayers are not different but one. In saving the nation, God would use the son of Zechariah and his wife, that is, John the Baptist.

세례요한은 그의 출생 자체부터 메시야를 기다리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기도에 응답하신 하나님의 뜻이 성취된 것입니다.
The birth of John the Baptist was the answer to people's prayer waiting for the Messiah.

사가랴가 하나님의 능력을 온전히 신뢰하지 못하자, 그는 잠시 벙어리가 되었습니다. 아이를 낳아 이름을 지어야 하는데, 아버지를 따라서 ‘사가랴’라고 하려고 했습니다. 그러자, 그는 연필을 달라고 해서, 천사가 일러준 대로 “요한”이라고 썼습니다. 그리고, 그의 입이 풀려 말을 하게 되었습니다.
Zechariah became silent and could not speak for a while because he did not believe it. As John the Baptist was born, family attempted naming him Zechariah, following his father. But Zechariah asked a pen and wrote "John" as the angel taught. And he could speak out.

그는 하나님을 찬송했습니다. 성령의 충만하심을 입어 예언을 했습니다.
He praised the Lord. With the Holy Spirit, he opened his mouth:

“찬송하리로다. 주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여. 그 백성을 돌아보사 속량하시며, 우리를 위하여 구원의 뿔을 그 종 다윗의 집에 일으키셨으니, 이것은 주께서 예로부터 거룩한 선지자의 입으로 말씀하신 바와 같이, 우리 원수에게서와 우리를 미워하는 모든 자의 손에서 구원하시는 구원이라.
Praised be to the Lord, the God of Israel, because he has come and has redeemed his people. He has raised up a horn of salvation for us in the house of his servant David, as he said through his holy prophets of long ago, salvation from our enemies and from the hand of all who hate us.

우리 조상을 긍휼히 여기시며, 그 거룩한 언약을 기억하셨으니, 곧 우리 조상 아브라함에게 맹세하신 맹세라. 우리로 원수의 손에서 건지심을 입고 종신토록 주의 앞에서 성결과 의로 두려움이 없이 섬기게 하리라 하셨도다.
to show mercy to our fathers and to remember his holy covenant, the oath he swore to our father Abraham: to rescue us from the hand of our enemies, and to enable us to serve him without fear in holiness and righteousness before him all our days.

이 아이여, 네가 지극히 높으신 이의 선지자라 일컬음을 받고 주 앞에 앞서가서 그 길을 예비하여 주의 백성에게 그 죄 사함으로 말미암는 구원을 알게 하리니, 이는 우리 하나님의 긍휼을 인함이라. 이로써 돋는 해가 위로부터 우리에게 임하여, 어두움과 죽음의 그늘에 앉은 자에게 비취고, 우리 발을 평강의 길로 인도하시리로다.”
As you, my child, will be called a prophet of the Most High; for you will go on before the Lord to prepare the way for him, to give his people the knowledge of salvation through the forgiveness of their sins, because of the tender mercy of our God, by which the rising sun will come to us from heaven.

아버지의 예언 속에 아들의 사명이 들어 있었습니다. 아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길을 예비하는 자로 살게 된 것입니다.
In the father's prophecy, there was the mission of the son. The son was supposed to walk the way of preparing the path of Jesus Christ.

그는 예수님을 소개하는 사역을 시작할 때까지 들판에서 살았습니다.
He stayed in the wilderness until starting the mission, introducing Jesus as the Christ.

예수님 당시 유대인들은 크게 세 개의 종파가 있었습니다. 가장 유명한 것이 바리새파입니다. 소위 ‘바리새인’들로 구성된 종파입니다. 그들은 모세의 율법을 철저하게 지켰습니다.
In the days of Jesus, there were three major divisions in Judaism. The most popular was the Pharisees. They kept the Torah very strictly.

두 번째는 사두개파입니다. 그들은 성전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는데, 대단히 정치적인 집단이었습니다. 부활도 믿지 않고, 천사의 존재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The second was the Sadducee. They were composed around the temple. They were very political party. They did not believe resurrection and the angels.

세 번째는 에세네파입니다. 주로 광야 같은 데 거하면서, 세상으로부터 은둔했습니다. 그리고 메시야의 오실 날만 기다렸습니다. 사해바다 근처에 쿰란이라는 공동체가 있었는데, 거기가 에세네파 사람들의 본거지였습니다. 
The third was the Essene. They stayed in the desert, separating themselves from the world. And they waited for the coming Messiah. There was a community named Qumran around the Dead Sea, which was a center of the Essene.

그런데, 그 에세네파 공동체가 세례요한과는 거리가 있다는 것이 요즘 학자들의 정설입니다. 우선, “민족”에 대한 기도가 입장이 다릅니다. 에세네파 사람들은 민족 자체를 타락한 존재로 봅니다. 그래서 광야로 나간 것입니다.
Some major scholars recognize some differences between John the Baptist and the Essene. One example is the understanding of "the nation." The Essene identified the nation as corrupted one, and they went into desert to separate themselves from the world. 

세례요한은 일정기간 동안 광야생활 한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그 자신이나 그 소속 그룹의 ‘배타적인 구원’을 위한 기다림이 아니었습니다. 예수님께서 나타나실 때까지 가장 귀한 ‘기다림’을 한 것이었습니다.
Actually, John the Baptist stayed in desert for a while. But he did not exclusively waited for the salvation of himself or his group. His desert life was to prepare for the meeting the Messiah.

그리고, 메시야 예수님을 만나 그분에게 세례를 베풀었습니다. 그분을 세상에 소개하기를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어린양이로다!” 그렇게 선언한 이후, 그는 다시 그 모습을 감추고 말았습니다. “그는 흥하여야 하겠고, 나는 쇠하여야 하리라!”(요한 3:30) 그런 선언과 함께.
As he met the Christ, he baptized him. He introduced the Messiah to the world: "Behold, he is the Lamb of God, taking away the sin of the world!" After the introduction, he disappeared. He said, "He must become greater; I must become less" (John 3:30).

따라서, 세례요한의 기도 속에 ‘민족’은 망할 것이 아니라, 반드시 구원받아야 합니다. 그의 ‘민족 개념’은 세계를 포함하는, 대단히 적극적이고 포괄적인 의미입니다.
The nation in the prayer of John the Baptist was not to be perished but be saved. His understanding of nation was very positive and inclusive. 

예수님을 만나기 직전, 특히 예수님을 기다리는 가운데 회개의 선포와 세례를 베푸는 일을 수행함에 있어서, 그는 대단히 유명한 사람이었습니다. 사람들은 그가 혹시 ‘메시야 자체’가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물었습니다. “당신이 메시야입니까?”
Before meeting Jesus, as he was waiting for the Messiah, he was very popular person, proclaiming the repentance and baptizing. People thought him the Messiah, and asked him, "Are you the Messiah?"

그때 그는 단호하게, “아닙니다. 나는 메시야가 아닙니다.” 그랬습니다. 이거 당연한 것  같이 보이지요? 그러나, 그렇지 않습니다.
And he said very clearly, "No, I am not." This seems very easy. But it was not.
당시에 많은 사람들이 나타나서 “내가 메시야다!” 그랬습니다.
In those days, a number of people appeared and said, "I am Messiah."

그런데, 사람들이 “당신이 메시야입니까?” 물을 때는, "그렇다고 말하면 따르겠다“는 생각이 깔린 것 아닙니까? 그런데, “아닙니다.” 하기는 대단히 어렵습니다.
When they asked, "Are you the Messiah?" many of them must have decided to follow him according to the answer. In the situation, to answer "No, I am not!" was not so easy.

요새도 “메시야”라고 스스로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가장 유명한 사람은 통일교의 문선명 교주입니다. 15년 전에 들었는데, 한국에 메시야가 40명 있다고 했습니다.
There have been a number of people, insisting "I am the Messiah!" A most popular one is Moon Sun Myung of the Unification Church. About 15 years ago, I heard that there were 40 Messiahs in Korea.

메시야니즘은 다양한 모습을 띠고 있습니다. 한국 사람들은 그런 영웅주의를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최근의 황우석 박사의 경우도 그렇습니다. “아닙니다. 나는 그저 하나의 과학자입니다. 과학자는 실수할 수도 있고, 그 실수를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를 해 나갈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말했어야 합니다.
Messianism takes a very diverse figure. Koreans seem to like heroizing. The case of Dr. WS Hwang can be easily categorized here. He should have said: "No, I am not. I am but a scientist. A scientist may make mistakes. I am not perfect."

그러나 그는 마치 메시야처럼 엄청난 청사진을 제시했고, 사람들은 열광했습니다. 2000년대를 살아가는 세계화 사회에서 일어난 일종의 슬픈 메시야니즘 해프닝이었습니다.
But, like Messiah, he proposed a great blue print, and people gave him warm hands. It was but a sad happening in the worldwide society in the day time of the second millenium.

세례요한이 한 일은 1. 회개선포와 2. 세례를 베푼 것입니다. 이 두 가지는 모두 메시야를 기다리는 사람, 메시야의 오실 길을 예비하는 사람으로서 해야 할 일이었습니다.
What John the Baptist did were: 1. the proclamation of repentance; 2. the baptism. Those two were what the people waiting for the coming Messiah had to do. 

그리고, 예수님을 만났을 때, 그는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이로다!” 선언했습니다.
As he met Jesus, he said, "Behold, the Lamb of God, carrying away the sin of the world!"

그리고, 그의 제자들이 하나씩 둘씩 그를 떠나 예수님께로 가는 것을 지켜보았습니다. 어떤 의미에서는 그가 제자들을 보낸 것입니다. 자기 제자로 삼은 것이 아니라, 예수님의 제자로 양육했다가, 때가 되자 그들을 보낸 것입니다.
And he sent his disciples to Jesus. John the Baptist did not make his own disciples. He nurtured disciples and sent to Jesus.

이때 간 제자들 가운데 하나가 안드레입니다. 그는 베드로의 동생으로서, 형을 예수님께로 인도했습니다.
One of them was Andrew, the brother of Peter. Andrew introduced Peter to Jesus.

오늘 우리는 다시 오실 메시야를 기다립니다. 즉, 예수님의 재림을 기다립니다. 예수님의 재림을 기다리는 우리는 2000년 전에 세례요한이 했던 바로 그 모습을 해야 합니다. 그것은 주님의 오실 길을 평탄케 하는 일입니다. 바로 회개를 선포하는 일과 세례를 베푸는 일입니다.
Today, we wait for the coming Messiah, the second coming of Jesus Christ. As we do, we are to repeat what John the Baptist did 2000 years ago. It is to prepare the way of Jesus Christ: to proclaim repentance and to baptize the people.

하늘로 올라가시기 직전 예수님께서는 이렇게 당부하셨습니다: “너희는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 여기, 회개의 메시지를 전할 것과, 세례를 베풀 것을 당부하셨습니다.
Just before ascending to the Heaven, Jesus said, "Go and make disciples of all nations, baptizing them in the name of the Father and of the Son and of the Holy Spirit, and teaching them to obey everything I have commanded you."

그러니까, 2000년 전에 세례요한은 오늘 우리 자신이 되어야 합니다. 그 때 세례요한이 했던 일은 바로 오늘 우리가 해야 할 사명이기도 한 것입니다.
We are to imitate John the Baptist. We are to do what he did before.

나는 1996년에 목사 안수를 받았습니다. 9년 전입니다. 신학을 시작한지 17년만이었습니다. 조금 늦은 편이지요? 그때 우리교회 청년이었던 강승규 형제가 특송을 불렀는데, “나는 소리요. 빈들에서 외치는 소리요.” 였습니다. 세례요한의 자기고백을 가사로 삼은 것입니다.
In 1996, I was ordained as Pastor. Brother Sean Kang sang a special song for me, the title of which was: "I am the voice in the wilderness!" It was composed based on the confession of John the Baptist.

그때 이후로 나는 종종 “내가 세례요한이 된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를 생각했습니다.
Since then, from time to time I thought what would be the meaning of being John the Baptist.

나는 누구입니까? 도대체 나는 누구입니까? 여러분은 누구입니까? 광야의 외치는 소리입니다.
Who am I? Who are you? We are the voice of the wilderness.

광야에 나간 것처럼 세상의 혜택을 최소화할 이유가 있습니다. 세례요한처럼 사명의 감당을 최대화할 이유가 있습니다.
We need to minimize our expectation of the world. We need to maximize the capacity of the mission.

성탄 어간입니다. 여기저기서 반짝등과 캐롤송이 난무하는 이럴 때, 우리는 세례요한을 기억할 이유가 있습니다.
It is the time of Christmas. They decorate candles and sing Christmas carols. We have reason to remember John the Baptist.

세례요한은 잊혀진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그분은 흥하여야 하겠고, 나는 쇠하여야 하리라!” 했습니다. 스스로의 자리를 쇠하여야 할 것으로 인정했습니다.
John the Baptist was forgotten. He said, "He must become greater, and I must become less." He admitted that he must decrease.

실제로, 예수님을 세상에 소개하고 난 이후, 그는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져갔습니다. 자기의 제자들을 예수님께로 보냈습니다. 더 이상 세례를 베풀지도 않았습니다. 물로 세례를 주는 자기는 성령으로 세례를 주시는 예수 그리스도 앞에서 마치 해가 떠올라 사라지는 이슬처럼, 깨끗하게 사라져 버린 것입니다.
Actually, after introducing Jesus to the world, he disappeared from the stage of history. He sent his disciples to Jesus. He stopped baptizing. Just like dews with the rising sun, he disappeared.

그의 마지막 모습은 헤롯에게 부정을 회개하라고 촉구했다가 감옥에 갇히고, 끝내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것입니다.
He asked Herod the King to repent; he was arrested; and he was killed.

그는 잊혀진 사람입니다.
그러나 그는 기억해야 할 사람입니다.
우리는 그의 이름을 기억해야 합니다.
He was a man of ignorance. But he is the man we have to remember. We must remember his name.

성탄 어간을 맞아, 거리는 휘황찬란하고, 상점마다 세일을 감행하는데, 우리는 잊혀진 이름 세례요한을 기억해야 합니다.
In the time of Christmas, time of commercial activities, we must remember the name of the young John the Baptist, the forgotten name. 

우리는 누구입니까?
우리는 무엇 하러 이 험한 세상에 태어났습니까?
우리는 어떻게 이 세상을 떠나야겠습니까?
Who are we? For what have we been in the world? How shall we meet Jesus in the last days?

이 모든 질문은 세례요한을 생각하는 가운데 그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세례요한의 정신이 오늘 우리 삶에 살아있기를 축원합니다. 아멘.
All those questions will get answer as we think of John the baptist. May God richly bless you all in living with the spirit of the young man, John the Baptist. Amen.

기도 Prayer
은혜로우신 아버지 하나님. 저희들의 나태함을 일깨워 주시옵소서. 스스로 무엇이 된 것인양 하는 착각에서 벗어나게 하옵소서. 예수 그리스도를 소개하며, 그분의 오실 길을 예비하는 광야의 목소리로 만족하게 하옵소서. 회개를 촉구하여 죄에서 벗어날 길을 예비하게 하옵소서. 세례를 베풀어 주님의 성령의 세례를 예비하게 하옵소서.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Gracious Father God. Awaken our idleness. Help us come out of ignorance and let us understand we are nothing without you. Make us be satisfied in introducing Jesus the Christ, in teaching the Gospel, baptizing the nations. In Jesus' name, Amen.

축도 Benediction
May the grace of the Lord Jesus Christ our Savior, and the love of God our Father, and the fellowship of the Holy Spirit be with you all. Amen.

이런 글도 찾아보세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