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칼럼 [건강칼럼] 인체의 우성과 열성 반응

첨부 1


인체의 우성과 열성 반응 

- 차가원 정성윤 실장


차가버섯과 자연요법으로 암을 치유하는 방법 중 가장 중요한 운동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중요한 사항 몇 가지는 미리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사람은 자신만의 생물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 체질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그냥 체질이라고 간단하게 표현하면 체질과 암 치유를 어떻게 연결해야 하는지 개념이 잘 서지 않습니다.

인간은 인체가 상황에 따라 변하고, 대응하고, 느끼고, 반응하는 것을 결정하는 생물학적인 구성은 거의 동일합니다. 기본적인 생물학적 구성은 동일하지만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반응하는 역량에 우성과 열성이 있습니다. 더우면 누구나 다 더위를 느낍니다. 하지만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더위를 좋아하는 경우도 있고 더위를 힘들어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더위를 즐기는 사람은 더위에 우성 반응을 하는 것이고 더위를 힘들어 하는 사람은 더위에 열성 반응을 하는 것입니다. 추위도 마찬가지입니다. 통증은 누구나 느끼지만 참지 못하는 사람이 있고 잘 참는 사람이 있습니다.

자연적인 방법으로 암을 치유할 때 생체학적인 우성과 열성 반응을 참고해야 하는 충분한 이유가 있습니다. 인체는 우성적인 반응이 나타나는 환경에 처해있을 경우 생물학적 스트레스가 줄어들고, 기분이 좋아지고, 면역력이 강해집니다.

주위환경을 가능한 우성적인 반응이 나타날 수 있도록 만들어줘야 합니다. 열성반응을 보이는 환경에서는 생물학적 스트레스가 강해지고, 기분이 침체되고, 면역력이 급감합니다. 진밥을 싫어하고 된밥을 좋아하는데 소화에 도움이 된다고 억지로 진밥을 먹이면 생물학적 스트레스가 증가됩니다.

추운 상태를 좋아하는데 무조건 몸을 따듯하게 하라고 해도 마찬가지입니다. 더운 것을 대단히 좋아하는데, 너무 급격한 변화가 있다고 불가마 찜질을 무조건 금지시켜도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성질이 급한데 침착하게 조용히 노력하라고 해도, 성질이 조용한데 있는 힘을 다해 빨리 노력하라고 해도 스트레스가 나타나고 암 치유를 방해합니다. 명상에 우성을 보이는 사람도 있고, 운동에 우성을 보이는 사람도 있습니다. 반대로 열성을 보이는 사람도 있습니다.

대부분은 평균치 근처에 존재하지만 특이하게 우성과 열성반응이 강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성과 열성반응이 확연하게 나타나는 경우는 환경을 가능한 우성반응 쪽으로 개선시켜야 합니다.

다음 칼럼은 자연요법과 스스로의 힘으로 암을 치유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인 운동에 대해 본격적으로 다뤄집니다. 자연요법과 스스로의 힘으로 암을 치유하려 노력할 때 성공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이 운동이고 반대로 실패의 주원인도 운동입니다.

- 출처 : 크리스천투데이

이런 글도 찾아보세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