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예화 진정한 위로

첨부 1


함께 있어 준다는 것은 병자나 슬픔 당한 자들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다. 작가 케이트 밀러도 그의 아버지의 장례식에서 비슷한 일이 있었던 것을 기억한다. 장례식 예배가 끝난 후 많은 사람들이 밀러의 집에 왔다. 그 사람들 중에는 햇볕에 그을린 피부와 백발을 지닌 키가 큰 사람도 한 명 끼어 있었다. 그는 자신의 카우보이 모자를 들고 저녁 내내 소파 한쪽 끝에 앉아 있었다. 다른 모든 사람들이 갔을 때 마침내 그가 밀러에게 다가와서 말했다. '얘야, 나는 너의 아버지를 안단다, 그는 훌륭한 사람이었다.'
그는 밀러를 똑바로 쳐다보고 악수를 한 후 돌아서서 떠났다.
'나는 결코 그 사람을 잊어 본 적이 없다. 그리고 그 날 밤 조문왔던 사람들 중 다른 사람은 아무도 기억할 수 없다. 그가 와서 슬픔에 잠긴 우리와 아무런 말도 없이 저녁 내내 앉아 있다가 마침내 아버지에 대해 한마디 말을 남기고 떠난 것으로 충분했다. 그분은 바로 아버지와 우리를 위해 오신 것이다. 나는 그분의 이름을 기억할 수는 없지만 그분이 그때 나와 함께 있어 준 것은 나에게 굉장한 영향을 끼쳤다.' 그 이후로 밀러는 친구들의 사랑하는 사람들이 죽었을 때 애써서 장례식에 참석했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이제 나는 깨달았다. 대부분의 경우 내가 있어 줄 수 있다면, 내가 무엇을 이야기하는 가 하는 것은 크게 중요하지 않다. 나는 이것이 아픈 사람이나 심지어는 감옥에 갇힌 사람을 위문할 때 적용되는 기본적 진리라고 생각한다. 입으로 위로를 표현하고 설득력 있게 말하는 것이, 그냥 와서 염려하는 것만큼 중요하지 않다'

이런 글도 찾아보세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