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설교 간절한 다윗의 기도 (삼하 12:15-23)

첨부 1


우리는 하나님에게 항상 드리는 기도이지만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가를 본문 다윗의 기도를 통해서 듣고자 합니다. 기도는 성도의 영적 호흡입니다. 사람이 왜 호흡하는가 라는 질문의 답은 간단합니다. 호흡을 하지 않으면 죽기 때문입니다. 기도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드리는 기도를 하나님께서 기뻐 받으시도록 하기 위해서 우리 신자의 기도의 태도는 어떠해야 하는지 본문의 다윗의 기도를 중심으로 그 예를 찾아보고자 합니다.

1. 기도자의 태도 (1) 기도는 아름다워야 합니다. 찬송을 아름답게 하자고 하면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습니다. 그러나 기도를 아름답게 하자고 하면 이의를 제기할 사람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기도는 아름답게 해야 합니다. 그러면 어떤 기도가 아름다운 기도입니까 청산유슈처럼 쏟아 놓는 미사여구를 말하는 것이 아름다운 기도는 아닙니다. 다윗처럼 자기 죄를 통회자복하는 기도가 아름다운 기도인 것입니다. 자기 죄에 대한 변명, 하나님에 대한 원망, 나단 선지자에 대하여 아무런 나무람이 없습니다. 오직 하나님에게 나는 죄인입니다. 긍휼히 여겨 주옵소서 라는 기도를 했습니다. 하나님에 대한 경배, 긍휼을 바라보는 기도,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기도였습니다. 다윗의 기도는 참으로 아름다운 기도였습니다. (2) 기도는 간절해야 합니다. 기도는 무엇보다 간절해야 합니다. 기도를 지나치게 간단히 해치우는 사람이 있습니다. 또한 긴 기도라야만 반드시 좋은 기도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간절한 기도는 한 두 마디로 간단히 끝내지지는 않습니다. 간절한 기도 외에는 달리 길이 없는 것처럼 오로지 기도에만 전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본문 16절 말씀을 보면 다윗은 범죄하여 낳은 불의의 아들이 병이 들자 그는 금식하고 철야를 기도해 가면서 하나님에게 그 자식이 낳게 해달라고 매달렸습니다. 다윗은 신앙인이었습니다. 그는 왕이라는 높은 위치에 있으면서도 선지자 나단의 해망을 받고 즉석에서 잘못을 깨닫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나 죄 값은 어쩔수 없어 그의 아들이 죽을 법에 이르자 그는 혹시 하나님께서 불쌍히 여겨서 살려주실까 싶어 간절히 매어 달렸습니다. 분명코 하나님께서는 그를 부르는 자에게는 그 고통에서 건져주시고(107:6), 요구를 들어주시는 것입니다(말 3:16). (3) 기도는 분명해야 합니다. 다윗은 그의 기도 제목을 앞에 두고 금식하고 밤새도륵 땅에 엎드려 기도했습니다. 꼭 금식하고 땅에 엎드려야만 간절한 기도라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밥을 먹는 것보다, 생명을 존중히 여기기 때문에 결단성 있게 하나님께 매달리는 것입니다. 우리 기도는 증언부언한 기도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즉 무엇을 구하는지, 왜 구하는지 분명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4) 기도는 확신을 가지고 해야 합니다. 구한 것은 이미 받은 줄로 믿어야 합니다. 사 65:24에 “그들이 부르기 전에 내가 응답하겠고 그들이 말을 마치기 전에 내가 들을 것이라”고 약속하셨기 때문입니다. 믿음이 없는 기도는 하나님께 대한 농락입니다.

2. 하나님께 자신의 기도에 응답이 늦어짐에 대해 감사해야 합니 다 우리는 본문을 통해서 이상한 것을 느낀 수 있는데 그것은 다윗 같이 훌륭한 신앙인의 기도를, 더우기 그의 간절한 기도를 어찌하여 하나님께서는 들어주시지 않으셨는가 하는 점입니다. 그러나 기도의 응답과 불응답은 온전히 하나님의 주권에 속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기도할 때 왜 하나님께서는 나의 기도에 관여하시는 것일까 하나님께서는 과연 존재하시는 것인가 아니면 나의 간구가 진실되지 못해서 그런 것인가 하는 이런 의심에 부딪치게 됩니다. 그러나 사실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백성의 기도를 원칙적으로 다 들어 주십니다. 하나님께 서는 그의 백성의 간구와 기도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계십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응답은 기도를 드린 자의 원하는 바대로, 그리고 모든 자에게 대하여 이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그 이유를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1) 우리의 기도가 이루어져야 할 시기까지 보류하자는 것입니다. 모든 것은 적절한 시기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하나님의 시간에 의해 지배받는 것입니다. 그것은 오직 하나님 자신의 큰 뜻에 의해서 우리의 기도와 간구를 이루시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어떤 때에는 인간편에서 볼 때에는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보류상태로 오랜 시간동안 참기 어려운 인내를 필요로 할 때도 있는 것입니다. (2) 우리가 불필요한 것을 요구할 때 주시지 않습니다. 자녀가 아무리 귀엽고 사랑스럽다 하나 위험한 물건을 어린이가 달라고 할 때 주는 부모는 없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보실 때도 우리는 항상 어린 아이입니다. 우리의 간구가 아무리 진실되고 간절할지라도 불필요한 것은 주시지 않습니다. 곧 그 자체가 하나님의 사랑이며 기도에 대한 응답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현재의 자세에서 간절히 기도하여 응답을 받도록 하되 헛된 것을 위해서는 기도하지 않아야 합니다. 다윗은 그의 간절한 기도에도 불구하고 다른 결과로서 기도의 응답이 임하였을 때 그는 어떻게 하였습니까 7일만에 다윗과 밧세바 사이에서 낳은 아들은 죽었습니다. 이 결과를 어느 누구도 왕에게 고하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병든 어린 아이를 위해서 금식하며 철야 기도를 했는데 죽었다는 사설을 전하기란 신하로써 마음 아픈 일이었기 때문입니다. 결국 그의 아들의 죽음의 소식을 다윗이 듣게 되었을 때 다윗의 태도는 참으로 위대했습니다. 본문 삼하 12:20에 “다윗이 땅에서 얼어나 몸을 씻고 기름을 바르고 의복을 갈아입고 여호와의 전에 들어가서 경배하였다”고 하였습니다. 이 성군 다윗 왕의 거동은 당시 왕을 보좌하던 신하들에게 의아심을 가지게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신하들이 왕에게 묻기를 “아이가 살았을 때는 금식하고 우시더니 죽은 후에는 일어나서 잡수시니 어찜이니이까” 라고 하자 다윗은 “아이가 다시 돌아오게 할 수 있느냐 나는 저에게로 가려니와 지는 내게로 돌아오지 아니하리라”고 하여 인간 편에서 할 수 있는 일과 하나님만 하실 수 있는 일을 구별할 줄 아는 신앙인으로서의 대답을 하였습니다. 하나님께서 비록 그의 기도를 들어주시지 않았어도 원망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감사와 찬송을 예배드렸습니다.

3. 다윗의 기도는 축복으로 임하는 열매를 가져왔습니다 다윗을 훈련시키신 하나님께서는 그에게 새로운 축복을 내리셨습니다. 그것은 다름아닌 솔로몬을 그에게 허락하신 것입니다. 물론 밧세바를 통하여서 얻었다고 할지라도 솔로몬은 다윗이 얻은 축복의 아들이었습니다. 그 축복의 보장은 하나님이 선지자 나단을 보내어 솔로몬에게 여디디야(여호와께 사랑을 입음이라는 뜻) 라는 이름을 주심으로 증명되었습니다. 왕야 40년 동안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께서 주시는 만나와 반석의 생수를 먹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을 원망하다가 왕야에서 다 쓰러져 죽었습니다. 그러나 다윗의 생활은 대조가 됩니다. 간절한 기도를 드린 다윗은 그의 기도가 비록 응답받지 못했으나 하나님께 감사기도 예배를 드렸습니다. 그 결과로 지혜의 왕 솔로몬을 얻었던 것입니다. 지금 당장 내게 기도의 응답이 없다고 내 생활에서 축복이 떠난 것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고 더욱 하나님을 의지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사도 바울이 가르쳐 주신 바와 같이 “우리가 알거니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협력하여 선을 이루니라” (롬 8:28)고 하신 이 말씀은 모는 신자에게 향하신 하나님께서 독특하게 사용하시는 방법이라는 것입니다. 우리는 기도의 응답이 늦거나 오지 않거나 어떠한 경우에서도 참된 신앙인은 감사를 드리며 참고 기다리면 축복은 이내 뒤따라오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기도하는 자의 진실한 태도입니다. 우리는 죄인이며 죄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선하신 뜻이 무엇인지를 분별하기가 참으로 어렵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분명히 알 수 있는 것은 우리 하나님께서는 구하는 자에게, 찾는 자에게, 문을 두드리는 자에게는 주실 것으로 믿는 것이며, 그의 자녀가 원하는 소원을 미리 아시며 선하신 그의 뜻대로 은혜를 주실 줄 분명히 알며 바라는 믿음이 되어야 합니다. 이것이 우리의 소망이며 우리의 믿음이며 기도를 하도록 하는 원천이 되는 것입니다.

이런 글도 찾아보세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