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설교 유대 왕가의 말로 (겔 19:1-14)

첨부 1


제 19장에는 18장에서 교훈하신 것에 대한 실제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스라엘 방백들은 하나씩 둘씩 여호와께로부터 떠났습니다. 딘하고 자비스럽던 요시야 왕의 자손들까지도 여호와께로부터 떠났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비참한 운명을 탄식하고 슬퍼할 수밖에 더 있겠습니까? 에스겔 선지자는 이미 이스라엘을 한 마리의 암사자로 묘사하였습니다.

1. 암사자의 비유 1절에 “너는 이스라엘 방백들을 위하여 애가를 지어 부르기를 네 어미는 무엇이냐 암사자라 그가 사자들 가운데 엎드리어 젊은 사자 중에서 그 새끼를 기르는데”라고 했습니다. 다윗이 사울과 요나단을 위해서 애가를 지었듯이(삼하 1:19-27) 여기도 선지자로 애가를 지어 유대 왕가의 말로를 위하여 부르라는 것입니다. 네 어미는 무엇이냐 암사자라고 사자들이라고 한 것은 열국의 왕들을 뜻하고, 암사자는 단수이니 혹 여호아하스 왕의 어머니 하무달(왕하 23:31)이라고 했습니다. 실로 1절부터 문제성을 가짐은 ‘너는’은 단수요, ‘백성들’은 복수입니다. 그래 ‘너’는 단수라 방백도 단수로 하면 그 누구일까 그러나 마지막 왕을 여호아하스, 여호야긴, 시드기야 등을 든다면 복수가 됩니다. 왕이었으나 여기 방백으로 격하시킨 것은 타의에 의해 세워진 왕들인지라 그렇게 할 수도 있으리라 봅니다. 어미 사자라 해서 황모를 지칭합니다. 할 수도 있겠으나 어떤 시어법(時語法)으로 이렇게 기록할 수도 있습니다. 방사자는 왕을 낳고 기른 황후일 수도 있으나 왕을 낳은 유대나라 또 그 백성으로 보아도 될 것이기도 합니다. 민 23:24에 “이 백성이 암사자 같이 일어나고 숫사자 같이 일어나서”, 창 49:9에 “유다는 사자 새끼로다” 이 말씀들을 보아 사자라고 비유함이 어떠함을 알만합니다. “네 어미는 무엇이냐 암사자” 여기 이른 바 ‘어미’는 왕의 모친 하무달을 가리키며 혹은 유대 혹은 유대민족을 가리킵니다. “그가 사자들 가운데 엎드리어 젊은 사자 중에서”라고 했습니다. 젊은 사자는 유대 이웃 나라들을 비유합니다. 암사자의 첫새끼, 즉 여호아하스가 커서 식물 움키기를 배워 사람을 삼키니 그를 함정에 빠뜨려 잡아가지고 갈고리로 꿰어 끌고 애굽 땅으로 잡아갔다고 합니다. 역사적 사실에서 볼 때 요시야 왕(주전 609년)의 후계자인 여호아하스는 등극후 석달만에 망하고 포로가 된 것이고 그 후 여호야김이 대를 이었습니다(주전 609-598). 그 다음 암사자 유대는 또 다른 새끼를 낳아서 “여호야긴”을 키운즉 식물 움키기를 배우고 사람을 삼키었는데 이런 행동을 하기 때문에 이 새끼 사자 역시 다시는 이스라엘 산에서 그 우는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해치워버렸습니다. 우리는 이 슬픈 일들을 다 역사의 세 부분에 적용시키려 할 필요는 없습니다. 꼭 그런 목적으로 쓰여진 것만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그런 비극적 사건과 부합되는 것입니다. 이 첫째 사자는 아마도 선한 왕 요시아의 아들 여호아하스를 가리킨 것이 분명하리라(왕하 23:31). 그에 대한 기록은 오직 한 구절 즉 “그가 예루살렘에서 석 달을 치리하는데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니라”는 말밖에 없습니다. 그 후에 그는 애굽으로 포로로 잡혀 갔습니다. 어미 이스라엘인 암사자는 다음의 둘째 새끼를 키워서 젊은 사자 여호야김을 만듭니다. 여호아하스는 석 달밖에 다스리지 못한 곳을 그의 아우 여호야김은 11년 동안이나 다스렸지만 에스겔은 이 여호야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바로 그의 아들인 여호야긴에 대하여 말한 것입니다. 이것을 보면 에스겔이 여호야김에 대해서는 별로 생각하지 않았음이 분명합니다. 어미 이스라엘은 둘째 새끼를 키워서 한 마리의 사자를 만들어 놓으니 이것이 역시 나아가서 성읍을 무너뜨리었습니다. 그러나 그 역시 함정에 빠져 잡혀서 바벨론으로 끌려가서 그 우는 소리가 다시 이스라엘 산에서 들리지 않게 되었습니다.

2. 포도나무 비유(10-14절) 10절에 “네 피의 어미는 물가에 심긴 포도나무 같아서 물이 많으므로 실과가 많고 가지가 무성하며”라고 했습니다. “피의 어미”란 말은 피묻은 어린 아기처럼, 그 역사의 초창기를 당했을 때의 유대 민족을 가리킵니다. “물가에 심긴 포도나무 같아서”라는 말은 유대 민족이 가나안 땅에 입주하게 된 것을 말합니다(신 8:7-9). 시 80:8에 “주께서 한 포도나무를 애굽에서 가져다가 열방을 쫓아내시고 이를 심으셨나이다.” 13-14절에 “이제는 광야, 메마르고 가뭄이 든 땅에 심긴 바 되고 불이 그 가지 중 하나에서부터 나와서 그 실과를 태우니 권세잡은 자의 홀이 될만한 견강한 가지가 없도다 이것이 애가라 후에도 애가가 되리라”라고 했습니다. 물가에 심기웠더니 이제는 메마른 광야에 심기웠다는 것입니다. 겔 20:35에 “너희를 인도하여 열국 광야에 이르러 거기서 너희를 대면하여 국문하되”라고 했습니다. 홀될만한 가지가 없고란 유대 왕통의 종말을 고함 입니다. 겔 20:47에 “너희 가운데 불을 일으켜 모든 푸른 나무와 모든 마른 나무를 멸하리니 맹렬한 불꽃이 꺼지지 아니하고 남에서 북까지 모든 얼굴이 그슬릴지라”, 사 1:8에 “딸 시온은 포도원의 망대 같이 원두밭의 상직 막 같이 에워싸인 성읍 같이 겨우 남았도다”라고 했습니다. 본문 10절로 부터는 어미 이스라엘이 포도 넝쿨로 나타납니다. 한 무성한 포도나무는 유대를 의미하는데, 그 나무에서 큰 가지가 자라 “권세잡은 자의 홀이 될만하다”고 합니다. 이 말은 시드기야를 가리킴이 분명합니다. 포도나무 ‘유대’는 분노 중에 뽑혀서 땅에 던짐을 당하고 동풍에 말라 불에 태워졌습니다. 여기서 요긴한 것은 자기들이 꺾이고 열매가 매말라 땔나무감이 된다는데 있는 것이 아닙니다. 문제는 이 이상 더 통치자를 배출시켜 그를 지지하고 받들만한 힘도 박력도 없게 된 것입니다. 이 포도나무는 실과도 많고 가지가 무성한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14절에 이르러서는 불이 두 가지 중의 하나에서 나와서 그 실과를 태워버렸습니다. 두 가지는 의심없이 언약과 맹세를 깨뜨린 시드기야 왕을 가르친 것으로서 그는 이스라엘 땅의 최후의 멸망에 대한 큰 책임을 질 수밖에 없는 사람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에게 여호와의 영광이 임할 기회를 가졌던 것을 모든 백성들이 어리석게도 그 영광에서 떠난 것을 생각할 때에 에스겔 선지자는 탄식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입니다. 에스겔 선지자의 탄식은 단지 이스라엘들이 처음부터 멸망을 자처한 일에 대한 것만이 아닙니다. 오히려 불쌍한 어미 이스라엘과 떠나버린 영광에 대하여 더욱 탄식하였던 것입니다.

이런 글도 찾아보세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