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예화 두 주인을 섬기는 사람들

첨부 1


우리나라 옛 선비들은 관료사회의 청렴도를 사불삼거(四不三拒)란 불문율로 측정하였습니다.

四不에서 一不은 부업(副業)을 가져서는 안된다는 것었습니다. 관료는 아무리 작은 부업이라도 갖게 되면 부패해진다고 믿었습니다.

조선 선조때 호조(戶曹)에 이강원이란 6품직관리가 어느날 귀가해 보니 아내와 동생이 울긋불긋한 청국 비단을 방안에 쌓아놓고 살펴보고 있었습니다. 이게 웬 비단이냐고 물으니 그의 아내가 생활이 너무 어려워서 그동안 동생과 함께 비단장사를 해왔다고 했습니다.
그러자 그는 이튿날 호조에 사직서를 냈습니다.

二不은 관료재임중 재산을 늘리지 않는 것이고,
三不은 재임중에는 집을 늘리지 않는 것,
四不은 재임중 그 고을의 특산물을 먹지않는 것입니다.

기건이란 사람이 제주목사로 부임해와 떠날때까지 전복을 한점도 입에 대지 않았던 것이나, 합천군수들이 재임중 은어를 먹지 않았던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한편 삼거(三拒)는 주로 청탁과 관련된 것들이었습니다.

一拒는 지체높은 세도가들의 부당한 청탁을 단호히 거절하는 것,
二拒는 친지의 합당한 청을 들어준 다음에 절대로 답례를 받지 않는 것,
三拒는 재임중 이유 없이 재물을 받지 않는 것입니다.

중종때 영의정이었던 성희안이 어느날 청송부사 정붕에게 편지를 써서 청송특산물인 꿀과 잣을 조금 보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이 편지를 받은 정붕은 성희안에게 이렇게 썼습니다.
"잣나무는 산위에 있고, 꿀은 꿀통에 있다."

말하자면 높으신 분이 손을 벌려도 이에 단호하게 거절하는 꼿꼿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런 글도 찾아보세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