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칼럼 평양과기대를 어찌 할 것인가

첨부 1


평양과기대를 어찌 할 것인가


북한 내에서 순수 해외자본으로 설립된 첫 대학인 평양과학기술대학은 애초부터 궁극적으로는 ‘선교’를 전제로 하고 세워졌다. 때문에 적지 않은 한국교회와 해외 한인교회가 이를 위한 모금에 동참했고, 정확한 금액은 밝혀진 바 없으나 천문학적 비용이 들어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독교계가 평양과기대의 운영에 관심을 갖는 이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양과기대측은 모금에 있어서는 세계 각지를 누비는 것도 불사하면서도, 정작 예산 집행과정과 비전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외면하거나 감상적인 자세로 일관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우려대로 평양과기대는 지난해 9월 준공식을 마쳤으나 올 4월로 예정된 개교는 미뤄졌고 향후 일정도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는 상황이다. 더군다나 천안함 사태가 북한의 만행으로 밝혀진 이후 남북관계가 전면 단절되고 개성공단마저 앞날이 불투명해진 상황에서, 평양과기대 또한 더욱 미래가 불투명해졌다.

이러한 상황은 북한의 현실을 너무 몰랐거나 혹은 알면서도 고의적으로 외면한 데에서 기인한다. 평양과기대의 설립 모티브가 된 것은 잘 알려진대로 연변과기대다. 연변과기대를 통해 중국의 크리스천 리더를 양성하고 선교에 이바지했듯, 같은 공산권인 평양에서도 노력하면 그것이 가능하리라는 것이다.

그러나 중국과 북한의 상황은 근본적으로 전혀 다르다. 중국은 국제적 지위와 외자 유치를 매우 중요시하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국제적 상식은 통하는 국가다. 그러나 북한은 이번 천안함 사태와 각종 남북교류에서 수 차례 확인했듯 상식과는 거리가 먼 나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나라에서 외국 자본이 그 설립이념을 구현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는 것은 도박에 가깝다.

평양과기대 내 ‘김일성 영생탑’과 ‘주체사상 연구센터’가 세워진 것은 그러한 북한의 현실을 반증해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영생탑은 1994년 김일성 사망 이후 김정일의 지시로 북한 전역에 세워진 김일성 ‘우상화’ 조형물이다. 북한 주민들은 김일성 사망일(7월 8일)이나 생일(4월 15일)에 각 동리마다 세워진 영생탑에서 헌화하도록 강요받고 있다.

평양과기대 김진경 총장은 당초 학사 운영에 대해선 김 총장과 북한 교육성이 임명한 북한측 총장이 공동으로 50년간 운영하나, 학교측이 한국을 비롯한 해외 교수임명권과 연구개발센터 등 산학협동단지의 조성 운영권을 모두 김 총장에게 부여해 북한 당국이 학사 운영에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상황이 벌어졌다는 것은 결국 ‘북한 정권의 원칙’이란 공수표에 불과했다거나, 아니면 김 총장이 북측에 너무 많은 것을 양보한 것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 어느 쪽이 진실이라고 해도 평양과기대가 남북관계나 북한선교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말은 그저 감상적 목표에 불과했음이 확연해지는 것이다.

상황이 이렇게 되기까지 평양과기대측의 책임있는 해명이 부족해 아쉬움이 크다. 마치 덮어놓고 쉬쉬하고만 있는 듯한 인상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모금 과정에서 보였던 적극성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평양과기대측은 지금이라도 학교의 현 상황과 예산의 사용내역에 대해 가감없이 공개하고,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재논의해야 할 것이다. 그것이 연변과기대와 평양과기대의 비전에 관심과 애정을 보여줬던 한국교회에 대한 책임있는 자세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출처 : 크리스천투데이

이런 글도 찾아보세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