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칼럼 종교편향 논란에 승자는 없다

첨부 1


[사설] 종교편향 논란에 승자는 없다


아무런 유익도 없고 득될 것도 없는 소모적인 종교 편향 논란이 도무지 끝날 줄을 모른다. 대개 기독교를 주 표적으로 삼는 이 종교 편향 논란은, 애초에 분명한 실체도 없는 것을 두고 일부 종교계가 감정적으로 다툼을 벌이며 지금껏 확전(擴戰)돼왔다.

종교 편향이라 함은 말 그대로 특정 종교에 치우쳐 부당한 혜택을 주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기독교에 대해 종교 편향 비판이 가해지는 일들은 대개 이와는 거리가 먼 경우가 많았다. 심지어 대통령의 주일예배 참석, 몇몇 기독 공직자의 신앙적 발언 등 사적인 영역 혹은 종교의 자유에 해당하는 일들까지 종교 편향이라며 구설수에 오르는 일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같은 논란이 되풀이되자 정부에서 2008년도부터 궁여지책으로 운영하게 된 것이 ‘공직자종교편향신고센터’다. 그런데 이 또한 판단 기준이나 원칙도 없이 결정되는 사례가 있어, 오히려 정부에 의해서 종교간 갈등이 깊어지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고 교회언론회가 지적했다.

교회언론회에 따르면 2008년 10월 1일부터 2010년 7월 20일까지 접수된 124건 중 기독교에 대한 것이 88건(71.0%)으로 가장 많았고, 불교 15건, 천주교 3건, 이단에 관한 것 13건, 기타 아직 처리하지 못했거나 취하한 것이 5건이었다.

신고된 사건에 대한 조치 결과를 놓고 보더라도 기독교는 88건 중 ‘문제 있음’이 74건으로 84.1%를 차지한 데 비해 불교는 26.7%, 천주교는 0%를 차지했다. 또한 기독교에 대하여 ‘문제 있음’으로 판명된 사건 중 가장 많은 것은 ‘성탄절 트리를 세우는 것과 카드 만드는 것’, ‘공공 기관장이 종교차별적인 발언’을 했다는 것이 각각 12건씩이었다.

반면 불교테마공원 조성과 템플스테이(사찰체험 프로그램), 연등 행사에 대한 국고 지원이 ‘종교차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해석이 내려져 일관성과 형평성에 의문을 갖게 하고 있다.

종교 편향 논란에 승자는 있을 수 없다. 종교는 사회 속에서 국민 화합과 국가 발전에 강력한 원동력으로서 자리해야 하는데, 각 종교가 뚜렷한 실체도 없이 편향이니 차별이니 하는 것은 그 누구에게도 하등 도움이 되지 않는다. 각 종교의 주체들은 이제부터라도 서로 화합하고 상생하며 발전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할 것이며, 정부와 국가 지도자들 또한 공평무사함과 배려심을 갖고 종교간 화합을 도와야 할 것이다.

- 출처 : 크리스천투데이

이런 글도 찾아보세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